로그인 회원가입

학교생활

생명을 살리고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

독서감상문

10721 오승배 행복한 과학 초등학교(1. 물리: 자연에는 비밀이 있다.)

  • 조회수 83
  • 작성자 오승배
  • 작성일 2020-01-01
  • 년도 2019년입학
  • 구분 과학기술교과
지금은 물리가 아주 어렵고 배울 것도 엄청나게 많지만, 맨 처음에는 공이 얼마나 빨리 굴러가나, 얼마나 빨리 떨어지나 연구하는 것이었습니다.공을 굴리면 어디까지 굴러갈까?너는 이런 것을 생각해 본 적이 있을까? 당연히 없을 것이다. 까마득한 옛날부터 지금까지 지구에 살았던 사람들 가운데 한두 사람만이 이렇게 이상하고 엉뚱한 생각을 했다. <br>하루는 갈릴레오가 나무판자를 비스듬히 세워 놓고 공을 굴리다가 새로운 실험을 했습니다. 판자를 길다랗게 하나 더 만들어서 맞은편에 비스듬히 대어 놓고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공을 굴려 보았습니다. 공이 신나게 굴러가다가 맞은편 판자 위로 굴러 올라갔습니다. 처음에 공을 굴렸던 높이만큼 반대편으로 공이 올라갔습니다.이번에는 길다란 판자를 낮게 기울여 보았습니다. 공이 더 멀리 굴러갔습니다. 판자를 기울이면 기울일수록 공은 더 멀리 굴러갔습니다. 갈릴레오는 판자를 점점 더 기울이다가 땅바닥에 평평하게 놓아 보았습니다. 그러자 공이 제일 멀리 굴러가서 멈추었습니다. 갈릴레오는 판자가 유리처럼 매끄럽고 아주아주 길다면 공이 어디까지 굴러갈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공이 계속계속 굴러갈 것 같았습니다.갈릴레오는 아주아주 이상한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만약에 판자가 완벽하게 매끄러워서 마찰이 털끝만큼도 없고, 만약에 판자가 한없이 길어서 끝이 없다면 공이 어디까지 굴러갈지 궁금하여 읽게 되었습니다. <br>공을 던지면 영원히 날아간다. 그것이 관성의 법칙이지. 한번 던지면 공은 방향도 속도도 변하지 않고 그대로 영원히 날아간다. 그런데 왜 지구에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지구에서는 공을 던지면, 공이 조금 날아가다가 방향을 바꾸어서 땅으로 떨어져 버린다. <br>왜 공이 땅으로 떨어지는지 아무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았는데, 관성의 법칙을 알게 되어서 과학자들은 그 이유가 궁금해졌다. 마찰이 없어도, 공기가 없어도 공은 반드시 땅으로 떨어진다. 왜 그럴까? 과학자들은 엄청난 비밀을 알게 되었는데도 상은 없고 괴상한 숙제를 선물로 받게 되었지. <br>너희도 생각해 보아라. 공이 왜 꼭 땅으로만 떨어질까? 옆으로 날아가면 안 되나? 공이 날아가다가 지구를 한 바퀴 돌아 네 뒤통수를 때리는 일은 없을까? 네가 공을 힘껏 던지면 하늘을 뚫고 우주로 영영 올라갈 수도 있지 않을까? <br>과학자들은 공이 왜 땅으로 떨어지는지 알쏭달쏭했는데 꼭 한 사람은 그렇지 않았다. 뉴턴은 공이 어떻게 땅으로 떨어지는지 잘 설명할 수 있었단다.(중략) <br>뉴턴은 생각해 보았다. 공을 빗면 위에 가만히 놔두면 공이 그대로 있어야 한다. 이것이 관성의 법칙이지. 그런데도 공이 가만있지 않고 아래로 내려온다면 무언가가 억지로 공을 끌어내린 것이다! 도대체 무엇이 그렇게 했을까?(중략) 뉴턴은 지구의 보이지 않는 힘이 억지로 공을 내려오게 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 힘을 지구의 중력이라고 불렀지.

대신고 SERVICE

대전대신고에서 필요한 서비스
바로가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