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학교생활

생명을 살리고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

독서감상문

20827 이준호 물리1 반도체 제국의 미래(정인성)

  • 조회수 100
  • 작성자 이준호
  • 작성일 2020-01-01
  • 년도 2018년입학
  • 구분 과학기술교과
삼성과 SK하이닉스를 필두로 우리나라는 반도체 최강국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난 198년에 우리나라가 반도체 강국으로 성장하겠다고 공언했을 때 이미 반도체 시장의 70%를 석권하고 있었던 미국과 일본을 콧방귀를 뀌며 무시했다고 한다. 그들은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높은 GDP와 교육수준이 뒷받침되어야함 성공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 반도체 시장 점유율의 70%는 삼성과 하이닉스가 독점하고 있으며 매출 1위에는 삼성이, 3위에는 하이닉스가 당당하게 차지하고 있다. 어떻게 이런 위대한 업적을 이뤄낼 수 있었을까? 우리나라가 반도체 산업에서 어떻게 굴지의 성공을 이룰 수 있었으며 앞으로 우리가 이런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나아가야할 방향을 무엇인지 이 책을 통해 통찰력을 얻을 수 있었다. <br> &nbsp;1980년대에 삼성의 전략은 다른 기업과의 원가경재이었다. 품질 경쟁에서 애초에 게임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잘 알고 낮은 품질이지만 가격에 집중하여 그들과 경쟁을 펼친것이다. 바로 이런 전략이 잘 먹힐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컴퓨터 시장의 판도가 변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1990년대로 접어들면서 퍼스널 컴퓨터 시장의 판도가 엄청나게 커져서 한 가정에 컴퓨터 한 대씩이 필수인 시대로 접어들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수많은 수요가 발생했고 품질보다 가격을 더 중용하게 생각하는 개인소비자가 증가했다. 이처럼 삼성은 높은 품질의 비싼 제품보다는 낮은 가격이지만 평균 이상의 내구성을 가진 제품을 원한다는 것을 정확하게 간파한 것이다. 전략을 잘 짰기 때문에 점유율을 높일 수 있었고 그렇게 창출된 수익으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선순환이 이루어진 것이다. 반면 일본은 더 높은 품질의 제품을 생간하기 위해 공정 과정을 늘렸고 이는 비용 증대로 이어져 수익률은 악화되었다. 그래서 결국 IT버블이 꺼지던 당시 대부분의 기업들이 적자일 때도 삼성은 유일하게 흑자를 낼 수 있었고 이는 낸드 플래시 개발로 이어졌다. 이를 통해 나는 전략을 잘 짜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게 되었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가 아이팟과 아이폰을 출시하면서 세계 반도체 시장은 또 한 번 들썩거렸다고 한다. 바로 낸드 플래시 메모리가 중요해진 것이다. 이런 시장의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었던 삼성은 그 기회를 포착하고 애플의 낸드 플래시 공급을 담당하였고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MP3와 스마트폰 시장에 거의 독점적으로 공급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앞서 말한 것처럼 지속적인 기술개발에 열중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시장의 판도를 정확하게 포착하고 기회를 만들어 낸 그들의 혜안에 감탄하게 된다. 앞으로도 우리나가 반도체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길 희망한다.

대신고 SERVICE

대전대신고에서 필요한 서비스
바로가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