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학교생활

생명을 살리고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

독서감상문

21008 박정한 물리학 1 독서감상문

  • 조회수 99
  • 작성자 박정한
  • 작성일 2020-01-01
  • 년도 2018년입학
  • 구분 과학기술교과
[상대성 이론이란 무엇인가] <br>제프리 베네트 지음 이유경 옮김 <br> <br>이 책은 아인슈타인이 예언한 블랙홀 관측을 통해 일반상대성이론이 증명되었음을 알려주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독자에게 아인슈타인이 주장한 특수상대성이론과 일반상대성이론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특수상대성이론의 경우 수업시간에 배운 것이 있어 비교적 무난하게 이해가 되었으나 일반상대성의 경우 이해하는 것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다. 먼저 특수상대성이론에서 시간지연이나 길이수축과 같은 현상들을 육상선수와 빛이 경주를 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여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이 없었다. 일반상대성이론은 아인슈타인이 뉴턴의 중력이론에서의 이상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한다. 태양과 지구를 예로 들면 우리는 태양과 지구사이의 만유인력의 크기를 알 수 있으나 지구는 태양이 어디 위치했는지를 알고 도는 것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이 원격조종처럼 보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론을 만들어 냈으며 이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아인슈타인은 중력이 작용하는 원리와 가속도가 작용하는 원리가 서로 같다고 주장했으며 이를 등가원리라고 명명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론에서 한 가지 실수를 하였는데 바로 우주상수의 도입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론이 성립하면 우주도 마찬가지로 언젠가 수축해야하지만 그렇지 않기 때문에 억지로 끼워 맞춘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인슈타인이 뚜렷한 증거 없이 도입한 개념이기 때문에 아인슈타인의 실수라고 불린다.

대신고 SERVICE

대전대신고에서 필요한 서비스
바로가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