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통합사회 선생님의 추천에 의해 읽게 되었다. 《지리, 세상을 날다》에는 세상의 바다에서 건져 올린 21편의 글들이 총 4장에 걸쳐 실려 있다.
<br>1장 ‘세계 속의 우리, 우리가 보는 세계’에서는 한반도를 가르는 휴전선, 우리 국토, 한국적인 식재료 고추, 우리의 필수 기호품 커피를 통해 우리만의 시야를 넘어 세계 속에서 우리를 되짚어 보고, 오래전 우리를 찾은 외국인과 외국을 바라본 한국인의 기록을 통해 우리 일상의 사건이나 현상을 어떠한 시선으로 바라보아야 하는지 생각해 본다.
<br>2장 ‘차이를 존중하고 차별을 깨뜨리다’에서는 공간을 통해 드러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북한과 남한 그리고 외국인과 내국인, 부유층과 빈곤층에 대한 이중적인 시선을 비판하고, 선입관과 편견을 넘어 다함께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진정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모색한다. 3장 ‘인간과 환경의 공존을 꿈꾸며’에서는 대운하, 도시, 주거, 온난화 문제 등 이 시대의 주요한 환경문제들을 지리적으로 검토해 보면서, 서구화와 개발주의가 가져온 폐해들을 지적하고 우리를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다. 4장 ‘우리의 공간을 줌-인!’에서는 삶의 공간을 좀 더 미시적으로 들어가 한국식 주거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아파트, 매일 두 다리로 걷거나 버스를 타고 가며 경험하는 도시 구조, 최근 지리적 이슈가 되고 있는 청계천 개발, 행정수도 이전과 행정구역 개편 등을 지리적 관점에서 검토하여 더 나은 삶터를 만들기 위한 대안을 찾아본다. 본문 중간중간에 사진 및 그림 약 120컷, 지도,도표,그래프 50여 컷, 각종 팁, 주석, 별면을 배치해 독자들이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했으며, 다양한 색상과 참신한 디자인으로 책을 읽는 재미를 높였다. 《지리, 세상을 날다》는 지금까지 나온 지리 교양서들의 성과를 인정하고 받아 안으면서, 더 넓고 더 적극적인 지리적 사고와 실천을 내놓는 책이 될 것이다.
<br> 나는 다양한 차례 중 3장 '인간과 환경의 공존을 꿈꾸며'가 가장 인상깊었다. 그 이유는 최근 환경오염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면서 나도 친환경적인 기술에 흥미가 많기 때문에 가장 몰입감 있게 읽게 된 것 같다. 나는 이 책을 모든 이들에게 추천한다. 그 이유는 꼭 어디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여도 지구에 살고 있다면 필요한 지식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책 같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