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가짜 뉴스는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전문적인 사전지식이 없는 사람들이 많은 분야인 정치분야에서의 가짜뉴스가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정치분야의 가짜뉴스의 문제점은 무엇이 진짜인지 구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전문 지식이 있는 사람은 가짜 뉴스를 구분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은 구분하기 쉽지 않다. 또, 언론사가 뉴스를 조작할 때에는, 사소한 것, 타격이 없는 내용을 꾸며내어 적지 않는다. 가짜뉴스는 매우 자극적이며 파급력이 큰 내용을 중심적으로 다룬다. 따라서, 우리는 가짜뉴스를 현명하게 수용해야 한다. 우리는 최근에 가짜뉴스가 대중매체의 발달과 함께 급증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이와 다르다. 가짜뉴스는 중세시대부터 있었다. 정보가 부족하던 시절, 정부에서 발표한 한 문장은 엄청난 힘이 있었다. 나라에서 그렇다고 하면 그런 것이었다. 일제시대에는 일제의 탄압에 의해 일제를 찬양하고 옹호하는 뉴스가 돌아다녔고, 군사정권 시기에는 군사정권을 찬양하는 기사가 뒤를 이었다. 이 때부터 정보는 권력 아래에서 조작되어 무지한 민중들을 자신들의 마음대로 이끌었다. 뉴스의 정치적 이용은 계속해서 이어져왔다. 이제는 언론을 아무도 신뢰하지 못한다. 신뢰를 받는 언론사를 사람들은 기억하지 못한다. 이런 시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내 생각으로는 오히려 언론을 국가기관 아래에 놓는 것이 답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헌법 재판소처럼 독립된 기관으로 놓는 것이다. 가짜 뉴스를 의도적으로 조작했을 경우, 처벌을 국가 기관에게 맡김으로서, 그리고 언론 감시 기관의 활동을 통해 이를 방지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가짜 뉴스 조작 시 강력한 처벌을 해야 한다. 표현의 자유라는 명목 하에 이루어지는 정보의 조작은 이루어질 수 없다.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언론의 거짓 정보를 신고하는 사람에게 포상금을 주고, 거짓 정보를 보도한 사람은 강력한 처벌을 통해 다시는 언론활동을 하지 못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