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을 읽으며 계속해서 의문점이 생겼다. 이 책이 현실너머의 것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인지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들이 많았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며 생긴 질문들을 적었고, 이를 정리하여 독서감상문을 작성하였다.
<br>질문 1: 포스트 모더니즘이란 무엇일까?
<br>답: 포스트 모더니즘은 모더니즘 이후에 등장한 사회 현상을 의미한다. 모더니즘(근대주의)는 종교의 압박에서 급진적으로 벗어나려고 하며 인간의 이성을 강조하여 왔다. 포스트 모더니즘은 2차 세계대전과 여성운동, 흑인 민권운동 이후 일어난 해체현상에 영향을 받으며 인간의 이성은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인간의 이성으로 이루어진 것의 해체를 주장하는 것이 포스트 모더니즘이다.
<br>질문 2: 마르크스 철학은 무엇일까?
<br>마르크스주의는 자본주의 내의 계급 충돌에 주목한다. 계급의 충돌은 프롤레타리아들이 기계화되어 생산한 사회화된 생산과 적은 소수의 부르주아의 사적 소유 사이에서 생기는 모순에서 발생한다고 본다. 이는 곧 자본주의의 모순을 의미하며 자본주의는 혁명을 통해 사회주의로 진보할 것이라고 보았다. 이후, 사회주의 또한 혁명을 통해 사회가 발전하여 도달하는 최종적이고 가장 이상적인 국가가 된다면 이는 바로 공산화된 국가라고 보았다.
<br>질문 3: 과학에서 회의주의를 표방한 과학자는 또 누가 있을까?
<br>대표적으로 리처드 도킨스가 있다. 리처드 도킨스는 영국의 동물행동학자, 진화생물학자이다. 그는 과학적 회의주의를 표방하고 있는데 과학적 회의주의란 믿음과 신념에 기초한 과학적 이론에 대해 비판하고 이성적으로나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못하는 과학 이론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가지고 있다. 그는 특히 창조론적 과학 설명을 거부하는데, ‘이기적 유전자’, ‘에덴 밖의 강’ 등의 저서를 통해 그의 의견을 나타내었다.
<br>질문 4: 중세 때 예술이 타락한 이유는 무엇일까?
<br>중세 시대에는 예술 또한 신의 은총을 나타내는 수단이었다. 기독교 교리에 따르면 성직자는 세속적인 삶을 살 수 없고, 금욕을 추구해야 한다. 그러나 중세 시대 교회가 타락하면서 신의 은총을 나타내는 수단이었던 예술 또한 세속적으로 타락하기 시작하였다.
<br>질문 5: 부르주아가 선택한 예술은 왜 그리스 로마 미술이었을까?
<br>부르주아가 그리스와 로마 예술을 선택하여 르네상스가 발전된 것이 아니다. 당시 르네상스는 이탈리아의 상업도시에서 부유했던 사람들이 발전시켰는데, 이탈리아는 로마 시대부터 많은 예술 작품들이 있었다. 또한 14세기에 비잔티움제국의 힘이 약해지면서 고대 로마의 예술을 간직하던 비잔티움 제국의 학자들이 이탈리아 반도로 이주하였다. 이로 인해 그리스 로마 미술이 계승되었고 발전되게 되었다.
<br>위 질문 활동을 통해 책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심화탐구하는 기회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