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학교생활

생명을 살리고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

독서감상문

20812 문성영 물리 도서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 조회수 144
  • 작성자 문성영
  • 작성일 2020-01-02
  • 년도 2018년입학
  • 구분 과학기술교과
유튜브애서 정재승에대해 알게 되었고 정재승의 책을 읽어보는 것에 관심이 생겨 읽게 되었다. 나는 이 책에서 1악장이 가장 인상깊었다. 1악장은 매우 빠르고 경쾌하게 라는 vivace molto이다. 1악장에 대해 간단히 말하자면 첫 번째로 케빈 베이컨 게임이 있다. 케빈 베이컨 게임이란 6다리만 거치면 세상 모든 사람을 안다는 것이다. 만약 내가 300명을 안다. 300명의 사람들도 각각 300명씩 알 것이다. 드러면 총 90000명의 사람을 알게되고 90000명의 사람들도 각각 300명씩 안다면 총 81억명의 사람을 알게된다. <br> <br>두 번째는 머피의 법칙이다. 머피의 법칙이란 안좋은 일은 계속해서 일어난다라는 이론이다. 이는 과학적으로 증명가능하다. 가장 기본적인 예로 버터를 바른 빵은 항상 버터쪽으로 떨어진다는 것이다. 식탁 높이 또는 사람의 손에서 떨어질 때 토스트가 한바퀴 회전하여 뒷면으로 떨어질 만큼의 중력을 못 받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우리가 놀이동산에 입장하기 위해 줄을 선다면 자신이 있는 쪽의 줄이 가장 느리게 준다. 왜냐하면 확률적으로 계산해봤을 때 자신의 줄이 가장 빨리 줄 확률은 12분의 1이므로 느리게 줄어드는 것이 정상이다. <br> <br>세 번째는 웃음의 사회학이다. 토크쇼 또는 예능에서 대부분의 게스트나 방청객은 여자이다, 여자와 낯선 남자, 여자와 여자가 방에 들어간다면 낯선 남자가 들어갔들 때 더 크게 웃는다, 왜냐하면 여자의 웃음은 방안의 어색함을 줄어들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br> <br>프렉탈 <br> <br>플렉탈이란 카오스 시스템이 공간적 분포를 이룰 때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자연의 패턴이라고도 할 수 있다. <br>카오스 시스템이란 확률로 계산 해야할 만큼 복잡한 사실이 몇 개의 간단한 비선형 방정식으로 표현되는 것을 카오스 시스템이라한다. <br> <br>잭슨 포록의 그림. 젝슨 폴록의 그림은 행위 예술이다. 하지만 이 속에 프렉탈이 들어가 있다. 잭슨 폴록의 그림에는 물감의 점성과 흔들리는 물감통의 속도, 물감을 떨어뜨리는 각도와 높이, 중력 및 가속력에 의한 물감의 퍼짐과 운동이 들어있는 정교한 자연의 패턴이다. 우리는 폴록의 움직임에는 주목하지만 자연의 리듬에는 주목하지 않는다.

대신고 SERVICE

대전대신고에서 필요한 서비스
바로가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