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학교생활

생명을 살리고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

독서감상문

11023 전희수 (지리 세상을 날다) - 전국지리교사모임

  • 조회수 194
  • 작성자 전희수
  • 작성일 2020-01-09
  • 년도 2019년입학
  • 구분 사회교과
책제목 : 지리 세상을 날다 <br>저자 : 전국지리교사모임 <br> <br>책 선택 동기 <br>식량 문제의 배후를 알고 싶었기 때문에 <br> <br>중요 내용 <br>기아상태가 즐겁다? <br>1. 기아 문제는 현재 진행중 <br> a. 사람들의 시선(굶주림의 이유) <br> ? - 아이를 너무 많이 낳는다. <br> ? - 잘살아 보려고 노력을 안한다. <br> ? - 사막같은 곳에서 살아서 농사X <br> b. 결론 <br> ?- ?이에 대한 해답은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그리 간단하지 않다. <br>2. &nbsp;? ? <br> ?a. 우리는 120억명을 먹일 수 있는 식량 확보 <br> ? ?- 그런데도 15%가 굶주림에 시달린다는 것은 양 이 아닌 분배의 문제 <br> ? ?- 이는 돈이 있어도 식량을 구할 수 없음을 뜻함 <br> <br> ?b. 왜 많은 국가들이 남아도는 식량들을 무상지원하지 않을까? <br> ? ?- 식량 가격이 떨어지지 않도록 일부러 과잉 생산 식량 폐기 <br> ? ? ?(유럽 우유, 건강한 소 도살, 인도와 브라질의 기아상태) <br>3. ‘수요.공급’ 의 법칙이 아닌 거대 곡물 투기 세력이 문제다. <br> ?a. 곡물 가격은 곡물 메이져와 곡물 투기꾼들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가 상당 <br> ? ?- 미국의 ‘시카고 곡물 거래소’에서 전세계의 곡물의 85%가 거래됨 <br> ? ? ?(따라서 이들에 의해 곡물 가격이 결정될 수 밖에 없는 구조) <br> ? ?- 곡물 시장의 40% 이상을 장악하고 있는 미국의 ‘카길’은 세계 <br> ? ? ?여러개국의 1000여개의 공장과 10만명여 명의 직원을 둠. 이렇듯 <br> ? ? ?‘카길’이 곡물 시장을 잡아먹고 있기 때문에 농민들에게 터무늬 없는 <br> ? ? ?가격을 제시해도 농민들은 그저 따를 수 밖에 없음. 더구나 세계의 <br> ? ? ?곡물 경장 상황을 파악해 자신의 손해를 줄이면서 최대 이윤만을 <br> ? ? ?추구함. <br> ? ?- 기아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돕는 FAQ, WFP같은 기구들도 1차적으로 <br> ? ? ?식량을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몰인정한 세계시장의 힘에 눌려 <br> ? ? ?아무런 힘을 쓸 수가 없음. <br>4. 불리한 국토 조건이 아닌 외부 요인이 문제다. <br> ?(무엇이 이들을 가로막고 있는것일까?) <br> ?(방글라데시, 에타오피아, 수단, 소말리아, 말리, 나이지리아, 부르키나파소) <br> ?a. 에티오피아 <br> ? ?- 배수 시설만 갖추어진다면 토지를 중분히 경작지로 사용가능 <br> ? ? ?(그러나 배수시설은 수출용 상품 작물을 재배하는 토지에만 만들어짐) <br> ? ?- 소말리아와의 군사적 대립으로 인하여, 모든 자원을 군비증강에 쏟음 <br> ?b. 나이지리아 <br> ?c. 부르키나파소 <br> ? ?- 일부 국가들이 사회 개혁에 성공해 자급자족을 달성할 경우, <br> ? ? ?강대국들의 방해를 받음. 강대국들의 식량 작물 판매에 문제가 있다며 <br> ? ? ?지도자를 암살하거나 쿠데타를 일으켜서 정권을 장악. <br> ? ?- 1983년 대통령이 된 토마스 상카리가 4년만에 자급자족 달성 <br> ? ?- 프랑스 쿠데타 세력에 의해 살해당함 <br> ?d. 정리 <br> ? ?- 정치적 군사적 상황, 이를 부추기는 외부 세력의 개입, 식량 자금의 <br> ? ? ?노력을 허락하지 않는 거대 곡물 자본의 압력이 매우 큼 <br>5. 전통적 농업이 아닌 수출용 단일 작물 재배가 문제다. <br> ?a. 정부는 수출에만 관심을 보일 뿐, 자급할 식량의 증산에는 관심X <br> ? ?- 유럽의 식민지배가 시작되면서, 자국의 자연조건을 고려하지 않은, <br> ? ? ?오직 수출을 위한 면화, 사탕수수등이 재배 됨. 가난한 농민들은 척박한 <br> ? ? ?땅으로 밀려남. <br> ? ?- 아프리카 사헬 지대 : 반건조 지역이기 때문에 농업과 목축을 결합 <br> ? ? ? ? ? ? ? ? ? ? ? ? ?하지만 식민정부의 1년생 작물재배 강요 <br> ? ? ? ? ? ? ? ? ? ? ? ? ?땅의 황폐화 되면서 과잉방목등 상황이 심각해짐 <br> ? ?- 수출을 위한 상품 작물은 풍부해졌지만, 국민이 먹고 살 작물은 부족 <br> ? ?- 가난한 국민들은 수입한 식량을 구매하지 못해 굶주림에 시달림 <br>6. 식량문제의 배후 <br> ?- 전통적 농업 방식이 최선의 농업 방식이 최선의 농업 방식임에도 <br> ? ?대규모 상업적 농업 방식을 강요하는 강대국들이 문제이다. 타의에 의해 ? ? ?이 균형이 무너지는 과정에서 자연환경이 파괴되었고 그 결과 자연재해도 ? ? ?더욱 빈번하게됨. <br> <br>가장 인상 깊은 문장 및 구절 <br>식량 문제는 단순 식량 부족현상 때문이 아니라 그 주변의 힘 때문이다. <br> <br>나에게 준 영향 <br>식량문제는 단순히 식량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건 줄 알았는데, 그 배후에는 강대국들의 이익 추구가 숨어져 있었다는 것이 놀라웠다. <br> <br>기타 <br>사회 교과독서

대신고 SERVICE

대전대신고에서 필요한 서비스
바로가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