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은 조선1대 왕 태조로부터 25대 철종까지의 25대 472년간의 역사를 연월일 순서에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역사서이다. 철종이후 고종과 순종이 더 있지만 「고종황제실록」과 「순종황제실록」은 일제강점기때 편찬되어 역사사실의 왜곡이 많아 실록으로서의 가치가 손상된것으로 판단된다. 1893권 888책으로 국보 151호이고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하고있다. 1997년 훈민정음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이책에서 가장인상이 깊었던 것은 바로 우리나라 최고의 왕이신 세종을 비롯한 왕 모두 실록을 사용한 것이다. 실록은 왕이 승하하면 다음 왕이 실록청을 설치하여 전왕대의 실록을 편찬하게 하였다. 춘추관의 사관들이 작성해둔 사초를 바탕으로 실록이 기록된다. 실록은 왕도 볼 수 없고 비밀이 유지되어야 하고 글을 쓴 사람이 책임을 지도록 작성자가 성명을 기입하여야 한다. 간혹 집권당이 바뀌면 「선조수정실록」 「현종개수실록」 처럼 수정실록이 발간되기도 했다. 조선왕조실록은 권 수도 방대하지만 조선시대의 정치 뿐만아니라 외교, 군사, 제도, 법률, 경제, 산업, 교통, 통신, 사회, 풍속, 천문, 지리, 과학, 의약, 문학, 음악, 미술, 공예, 학문, 사상, 윤리, 도덕, 종교를 망라하고 있는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운 귀중한 역사 기록을 담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에 번역본과 원문을 공개하고 있다. 이러한 실록의 위대함을 통해 실록의 내용 보다는 실록이라는 큰 업적에 대해 다루어보니 굉장히 자랑스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