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톰으로 이루어진 세상과 오주석의 한국의 미 특강 중 무엇을 먼저 읽고 독후감을 쓸까 고민하다가 책 표지가 강렬하고 인상 깊게 느껴졌던 한국의 미 책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이 책은 처음의 우리나라 옛 그림 감상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전시관이나 미술관, 박물관을 가면 작품을 관람하는 사람들 중에서 엉터리로 보는 사람과 제대로 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엉터리로 보는 사람들은 그림의 크기의 상관없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재빠르게 지나갑니다. 저도 가끔씩 전시관을 가게 될 때가 있는데 딱히 재미도 없고 흥미도 못 느껴서 그냥 휙휙 대충 훑어보고 지나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그림을 보는 사람들은 작품의 크기에 따라 관람하는 거리가 달라지고 시간도 한 작품에 관심이 간다면 엄청 오랫동안 자리를 머무르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리고 요즈음 사람들은 대부분 서양의 방식대로 왼쪽 상단부터 오른쪽 하단순으로 보는게 대부분입니다. 저 역시 항상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모든 것을 읽습니다. 하지만 옛 그림들이나 책들을 보면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가면서 읽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안타까운 점이 사람들은 전시관을 가면 보통 왼쪽부터 출입하고 오른쪽으로 나가는 구조로 되어있어 모든 그림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왼쪽부터 오른쪽 순으로 읽게 됩니다. 저도 책을 읽으면서 제가 이때까지 본 옛 우리나라 책이나 그림들은 왼쪽부터 읽었었는데 그게 너무 창피하기도 하였고 옛 조상님들에게 죄송스러운 마음이 들기도 하였습니다. 책에 나온 엣 그림을 관찰하는 방법에는 작품 대각선의 1.5배 정도의 거리를 두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쓸어내리듯이, 마음을 열고 찬찬히 바라보는 것이라 나와있었습니다. 그리고 동양의 음양오행과 성리학적 질서와 같은 사상적 토대들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책을 끝까지 읽어보면 결국 이 모든 말들은 다 시선 처리에 관한 내용들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한국의 미 특강은 조선시대의 그림들을 많이 다루는 데 결국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이 많은 작품들을 보면서 모든 작품들이 다 오른쪽부터 왼쪽순으로 봐야 한다는 것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는 책이란 것을 알 수 있었고,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를 이해하는 연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