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학교생활

생명을 살리고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

독서감상문

10818 백종헌 [역사 교과] 역사 속의 질병, 사회 속의 질병(서울대학교 병원 의학 역사 문화원)

  • 조회수 177
  • 작성자 백종헌
  • 작성일 2020-02-03
  • 년도 2019년입학
  • 구분 사회교과
지난번 병의 일상 개념사를 다룬 「호환, 마마, 천연두」책을 읽고 역사 속에서 병의 개념이 달라지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또한 그 책에서는 한국의 역사속 대표 질병들이 역사적 기록을 통해 알아본 개념의 변천사였기에, 보다 큰 세계 속 역사속 질병은 어떤 의미와 변화가 있을지 궁금하던 차에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br>문명과 교역은 서로 다른 나라의 문화적 발전을 이뤄냈지만, 반면에 새롭게 전염병이 창궐할 수 있는 조건이 되었다, 홍역이나 천연두같은 질병은 인간들 사이에서 직접 전파되기 때문에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이후, 신대륙은 스페인 병사들로부터 경험하고 인구가 거의 몰살되기도 하였다. 해상운송의 발전으로 전 세계적으로 교역이 발달하면서, 19세기 초 인도에서 유래한 콜레라가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세계각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사망하였다. 오늘날 유행하고 있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역시 이와 같은 맥락에 있다고 생각한다. 중국의 우한지방에서 발병된 바이러스성 감염 증세가 사람간 전염되는 특성과, 경제, 문화적 교류로서 지역적 제한 없이 활동이 이루어지는바 전 세계적으로 감염자가 나와 그 위험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백신 및 바이러스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치료제나 백신이 듣지 않는 진화된 감염병이나 새로운 바이러스 감염 등은 세계화에 따라 백신, 항생제와 기타 화학 요법제 등 위생설비 등 전통적으로 취했던 전략들을 취하고 있다. 인류와 전염병간의 싸움은 끝난 것이 아니고 앞으로 감염에 있어 그 범위가 확대될 수 있고,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 및 전염의 위험성이 커질 수 있기에 더욱 내가 하고 싶은 꿈인 백신 연구자가 되기 위해서 노력해야 겠다. 아울러 전염병에 대한 위험 지각과 예방행동이 모든 사람들에게 생활화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만들 것이다.

대신고 SERVICE

대전대신고에서 필요한 서비스
바로가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