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학교생활

생명을 살리고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

독서감상문

수학 교과 독서-10802 구대훈

  • 조회수 204
  • 작성자 구대훈
  • 작성일 2020-02-04
  • 년도 2019년입학
  • 구분 수학교과
제목: 한국 수학사 &nbsp;저자: 김용운.이소라 <br> <br>우리들이 배우고 있는 수학은 주로 근대 이후 서양에서 우리나라에 도입된 수학인데 <br>우리나라에도 신라 시대 이후 조선 왕조 말기까지 훌륭한 수학이 있었다. <br>한국 수학이 없었다면 신라, 고려, 조선이라는 나라가 세워지지도 못했을 것이고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과학적 산물은 <br>모두 한국의 수학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책을 읽으며 이해할 수 있었다. <br>한국의 수학은 동양 수학의 중심이었고 동양 수학의 전통을 지켜온 한국 수학이 정말 자랑스럽다. <br>학문에 열정이 많은 세종대왕도 스스로 어려웠다던 수학‘산학계몽’을 배우고 그 바탕으로 조선 과학을 일으켰다. <br>우리나라의 전통 수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책으로 우리 조상들은 무엇으로 수를 기록했을까? <br>아라비아 숫자가 들어오기 전까지는 한자 숫자를 사용하였는데 한자 숫자로는 계산하기가 무척 번거로웠다. <br>왜냐하면 한자 숫자로 수를 나타낼 때는 자릿값이 같이 적혀 있기 때문이다. <br>그래서 수의 기록은 한자 숫자로 하고 계산은 산대로 했다. <br>산대로 숫자를 나타내는 방법을 소개한 중국의 ‘손자산경’에 소개되고 있다. <br>산대로 사칙연산과 원주율뿐 아니라 방정식까지도 계산을 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br>우리의 세계적 자랑거리인 사개치부법이라는 놀라운 발명품을 만들었다. <br>사개는 주는 사람, 받는 사람, 주는 물건, 받는 물건의 네 가지를 말한다. <br>네 가지의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합리적으로 장부에 기록하는 법을 사개치부법이라 하는데 <br>요즘말로는 복식부기라 한다. 복식부기의 발명은 합리적 사고를 하면서 학문적으로 독립을 할 수 있게 된 발판이 되었다. <br>당대 수학자들이 지혜롭고 수학적 사고를 할 수 있었다는 사실에 존경스러울 따름이다. <br>옛 서민들이 수를 어떻게 계산했는지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었고 수학 공식에 대한 노래 있었다. <br>책을 읽으면서 서양 수학의 사고틀에 우리 전통의 수학적 사고를 가미한다면 현대과학을 보다 알차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br>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전통 수학도 우리의 역사를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를 해왔고, <br>앞으로 전통 수학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발전시켜야 하는 의무감도 우리들이 노력해야 할 과제인 것 같다.

대신고 SERVICE

대전대신고에서 필요한 서비스
바로가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