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학교생활

생명을 살리고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

독서감상문

10115 서진욱 :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읽고,

  • 조회수 208
  • 작성자 서진욱
  • 작성일 2020-02-07
  • 년도 2019년입학
  • 구분 공통교과
이 책은 내가 평소 우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과학시간에 우주와 별의 탄생, 원소들의 탄생에 대해 배우면서 우주의 기원과 관련 정보들을 더 알고 싶다는 생각에 책을 찾아보려 결심하며 읽게 되었다. 우주에 관련된 도서를 검색하면 가장 먼저, 가장 많이 나오는 책이기에 고르게 됐는데 이 책은 13가지의 목차를 가지고 들어가는 머리말부터 굉장히 전문적이고 정보적인 내용을 전달하려는 의도를 들어내고 있다. 간략히 각각의 챕터가 어떤 내용을 가지는지를 알아보면 1장에서는 코스모스의 바닷가에서 라는 제목으로 인류가 과거, 지구와 우주를 어떻게 인식하기 시작헀는지 그 후 어떻게 그 존재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왔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2장에서는 우주 생명의 푸가 라는 제목으로 지구에 어떻게 나타났는지 어떻게 진화되어 왔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며 우주에 다른 생명 또한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제목의 푸가란 음악적 용어로 악곡 형식을 나타낸다고 한다. 3장에서는 지상과 천상의 하모니라는 제목으로 천문학이 발전하며 지구와 우주에 대한 인식이 종교적 세계관에서 어떻게 과학적 세계관으로 바뀌었는지를 이야기한다. 4장에서는 천국과 지옥이라는 제목으로 우주적으로 지구가 받고있는 소행성 충돌, 공전 궤도의 미세한 변화를 얘기하고 있고 이 뿐만 아니라 사람의 행동이 지구에 미치고 있는 부정적 영향또한 이야기하고 있다. 5장에서는 붉은 행성을 위한 블루스라는 제목으로 과거 화성이 의미했던 많은 미신들과 현재 진행되는 화성 탐사 계획에 대해 설명해 준다. 6장에서는 여행자가 들려준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보이저 우주선이 태양계를 탐사하며 우리에게 어떤 정보들을 전달했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7장에선 밤하늘의 등뼈라는 제목으로 과거부터 지금까지 인류가 인식하는 우주관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8장에서는 시간과 공간을 가르는 여행이라는 제목으로 우주여행이라는 것이 실현이 가능할지, 만약 실현이 가능하다면 이를 어떻게 가능하게 할지, 그 열쇠인 상대성 이론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9장에서는 별들의 삶과 죽음이라는 제목으로 별의 탄생과 성장, 죽음에 대해, 또 생물들을 구성하는 재료들은 어디서 왔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10장에서는 영원의 벼랑 끝이란 제목으로 우주가 어떻게 시작되었고 팽창해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될 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11장에서는 미래로 띄운 편지라는 제목으로 6장에서 이야기했던 보이저호에 우리가 인류의 역사에 대해 실어 보낸 사건에 대해 이야기한다. ?12장에서는 은하 대백과사전이란 제목으로 외계 생명채의 존재 가능성과 이를 찾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왔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드디어 마지막 13장에서는 우주에서 시선을 돌려 지구가 어떤 인류적 어려움을 겪고있는지 이를 어떻게 헤쳐나가야 할 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쭉 읽고난 뒤 든 생각은 내 예상보다 더 전문적인 내용, 딱딱할 수도 있는 지식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는 생각이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충분히 흥미롭고 궁금했던 내용들을 전달하는 이야기가 많았던 것 같다. 특히 나는 교회를 다니며 창조론을 믿는 입장임에도 생명의 탄생, 그리고 외계인의 존재에 대한 부분이 굉장히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던 것 같고, 9장의 내용은 고1 통합과학에서의 단원과 연결되는 부분이 많아 더 이해하기 쉬웠던 것 같다.

대신고 SERVICE

대전대신고에서 필요한 서비스
바로가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