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학교생활

생명을 살리고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

독서감상문

10804 김동성 스토리 텔링 애니멀을 읽고

  • 조회수 213
  • 작성자 김동성
  • 작성일 2020-02-07
  • 년도 2019년입학
  • 구분 공통교과
이 책은 이야기가 어떻게 탄생이 되며, 이야기의 순 기능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이야기는 과연 미래에 쇠퇴할 것인지 등등에 대하여 말히주는 책이다. 우리는 재미삼아 드라마를 보거나 소설을 읽고, 아이를 재우고자 할 때 옛날이야기를 들려준다. 때문에 이야기를 밥처럼 매일 먹어야 하는 필수품이 아닌, 커피처럼 그저 삶을 윤택하게 하는 일종의 기호품으로 취급하기 쉽지만 이 책의 저자인 조너선 갓셜에 따르면 이야기는 인간의 본질적 측면 중 하나이다. 저자는 우리가 이야기에 사정없이 빠져드는 이유는 이야기가 인류의 생존에 유익하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이야기의 시뮬레이션 이론을 제시한다. 이는 전투기 조종사가 위험한 실전 연습 대신 안전한 시뮬레이터로 훈련하는 것처럼, 우리도 일상에서 맞닥뜨리는 온갖 사건을 안전한 머릿속에서 부딪치며 대응 능력을 키운다는 이론으로, 저자는 이러한 이론을 통해 우리가 왜 스토리텔링 애니멀이 되었는지 추적한다. 바야흐로 스토리텔링 시대 이야기의 힘을 이해한 인간 족속들은 이제 무엇에든 스토리텔링을 갖다붙이기 시작했다. 처음 스토리텔링이라는 단어를 들었을때 참 난해하고 어렵다고 생각을 했는데 지금은 주변에서 너무나 쉽게 접하게 된것 같다. 스토리텔링 수학, 스토리텔링 영어, 스토리텔링 마케팅, 스토리텔링 교육, 정치, 외교, 홍보, 사업, 게임, 광고, 육아까지도 스토리텔링을 붙인다. 왜냐하면 이야기는 감성어필에 최고의 재료이기 때문이다. 스토리텔링은 그 누구도 침범할 없는 영역인 인간 고유의 영역인 감성을 건드린다. 영문학자 조너선 갓셜은 인간이 스토리에 열광하는 이유를 진화생물학과 심리학, 신경과학 등의 연구를 통해 흥미롭게 풀이해주고 있다. 한 마디로 표현하면 저자 특유의 식견이 빛나는 스토리텔링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이다. 이야기가 인간의 본능을 자극하고 누구도 침투할 수 없는 깊은 곳의 감성을 흔들어놓기 때문에 이야기 하나에도 세상을 바꿀 수 있는 힘이 있다는 표현을 써도 무리가 가지 않은 이유인것 같다.

대신고 SERVICE

대전대신고에서 필요한 서비스
바로가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