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학교생활

생명을 살리고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

독서감상문

10325 이종민 사극으로 읽는 한국사 - 이성주

  • 조회수 159
  • 작성자 이종민
  • 작성일 2020-02-09
  • 년도 2019년입학
  • 구분 공통교과
'옥증화'라는 사극에서 조선 명종 때 전옥서를 배경으로 주인공 옥녀가 당대의 권력자들과 싸워나가는 이야기를 닮았는데 <br>이 사극에서는 조선 시대 죄수를 관장하던 전옥서라는 공간을 전면에 내세워 조선의 사법체계를 소개하였다. <br>여기서 전옥서란 형을 선고받기 전 미결수들이 잠시 머무는 공간이다 오늘날로 치면 구치소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br>특히 상민들이 많이 들어갔는데 여기서 인상 깊었던 점이 범죄자의 인권을 고려하는 요소가 있었음이다. <br>남옥과 여옥을 구분하여 주었고 조선 시대 감옥 전옥서의 표준을 만들어준 것이 세종대왕인데 이 세종대옹은 죄수들에게 남다른 사랑을 주었다. 동절기 때 수감하는 한옥과 하절기 때 수감하는 서옥으로 나누어 추위로 부터 죄수를 보호하였고 세종대왕은 직접 옥중 위생 관리 규칙도 만들어 지방 관리들에게 하달했다. 이것을 보아 세종대왕이 얼마나 백성들을 위한 왕인지 알게되어 매우 뜻깊었다. <br>구르미 그린 달빛이란 드라마에서는 조선 시대 궁에서 근무하던 내시의 생활을 흥미롭게 재연하였다. <br>조선 시대 내시가 되려면 거세를 해야했는데 이 수술의 사망률이 거의 60%에 달해 매우 위험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하층민의 출세수단으로 자신의 성기를 포기하면서까지 노력하는 모습이 너무 안타까웠다. 흥미로운 점은 조선 시대 내시는 여성과 결혼도 가능했으며 양자들 들여 대를 이어 갔음이 매우 뜻깊었다.

대신고 SERVICE

대전대신고에서 필요한 서비스
바로가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