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처음에 이 글을 읽고 “지극히 평범한 외판원이었던 그레고르가 왜 갑자기 흉측한 벌레로 변했을까?”라는 의문을 갖게 되었다. 그레고르는 분명히 집안에서 돈을 버는 유일한 사내였다. 그는 자기 방에 들어가면 문을 잠그고 휴일에도 외출하는 법이 없었던 무기력한 사내였으며 가족을 위해 일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힌 불쌍한 사람이었다.
<br>나는 이러한 변신 전의 태도와 변신 후의 태도를 생각해 보았다. 그는 변신 후에 가족들과 의사소통을 하고 싶어하지만 가족들이 거부한다. 물론 직장도 잃는다. 나는 이것으로 보아 그레고르가 가족들에게 돈을 버는 수단이 아닌 ‘그레고르’라는 존재로 다가가고 싶어했다고 생각한다. 그가 인간인 한 그는 돈을 벌어야 했고 ‘그’라는 존재만으로 다가가기는 어려웠다. 그가 벌레로 변신했던 것은 그의 잠재적 의지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벌레로 변한 그레고르에게 돌아온 것은 혐오감과 단절이었다. 경제적 능력이 사라지고 흉측한 모습만 남은 그레고르에게 어머니는 기절을 하고 아버지는 사과를 던져 위협하고 상처 입힌다. 여동생은 처음에는 그에게 음식을 가져다주고 그의 기호를 존중해 주는 듯 했지만 결국은 그녀가 그를 오빠로서가 아닌 하나의 흉측한 벌레로만 본다는 것을 나타낸다. 나는 이러한 그레고르의 가족들의 태도에서 비정함을 느꼈고 그레고르의 처지를 보고 현대 사회의 개인의 이기심으로 인해 상처받은 영혼의 절대적 고독감을 어느 센가 공감하게 되었다.
<br>그레고르는 가족의 부양자로서의 의무를 요구받았다. 그러나 그는 변신을 이루고 싶은 욕망으로 갑충으로 변신한다. 변신하여 온 결과와 상관없이 그는 단지 변하고 싶었을 뿐이다. 어떻게 될지는 모르고 말이다. 현재 우리 사회도 우리에게 많은 것을 요구하고 그에 걸맞는 변신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사회 발전의 측면에서는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을 요구한다. 또한 그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며 응용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사회 안정의 측면에서는 순종적이고 성실한 사람으로 변하기를 요구한다. 이밖에도 사회는 다양한 모습을 요구하고 우리에게 변하기를 바란다.
<br>나는 그레고르처럼 다른 것으로 변할 수 있다면 사회에서 요구하는 것이 아닌 내 개인의 욕망에 따라 새로 변해보고 싶다. 아무런 장치도 없이 하늘을 날게 되면 얼마나 행복할까? 자연에도 먹이사슬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자신의 자유와 행복을 유지하는 새가 부럽다. 새 한(!)마리가 자연의 순리에 큰 이익을 가져다주지 않는다고 생각 하더라도 그것은 사회가 돌아가게 하기 위해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행복과 자유도 누리기 위해 살아간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