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학교생활

생명을 살리고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

독서감상문

20313 박현우 공통도서 <대중문화의 겉과 속>

  • 조회수 80
  • 작성자 박현우
  • 작성일 2020-02-10
  • 년도 2018년입학
  • 구분 공통교과
문화 중에서도 가장 사람들에게 흔하게 여겨지며 B급 문화로 여겨지는 것이 대중문화이다. 그런데 지금도 여전히 대중문화가 B급인가? <br>TV, 공연, 인터넷 등은 이미 어떠한 문화보다도 사람들에게 가까이 자리 잡았고 4차 산업혁명의 주요 문화 혁명 종류에서도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 다중 커뮤니케이션 등 대중문화가 핵심을 자처한다. &nbsp;이렇듯 문화의 탑이 된 대중문화에 대하여 더욱 심화적으로 탐구하고자 이 책을 선정했다. <br>목차는 다음과 같다. 1- 대중문화 이론과 논쟁 2- 스타 시스템의 승자독식주의 3- 텔레비전의 문법 4- 테레비전 드라마와 예능 5- 디지털 시대의 고독과 생존 6- 영화와 동영상 문화 7- 대중문화의 세계화 8- 대중가요의 문법 9- 엔터테인먼트의 힘 10-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문법 11- 대중문화로서의 광고 <br>이 중 내가 가장 흥미있게 읽은 목차는 단연 대중문화의 세계화와 엔터테인먼트의 힘 단원이다. 대중문화의 세계화, 이는 공간적 한계를 탈피한 문화의 확산을 의미한다. 과거 전 세계의 신문사는 주로 미국의 방송을 따랐고 독립적인 언론사가 생기기 시작한 20세기 초반 언론의 공평성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는 언론의 자유성과 평등성의 탄압으로 이어졌고 우리나라에서는 전두환 정부 당시 언론 탄압까지 이어졌다. 이렇듯 독자적인 대중문화가 세계화 되며 좋은 점도 많아졌지만, 시민이 잘 모르는 국제적 이슈에 관한 가짜 뉴스의 등장 등 그림자 또한 존재했다. 필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미디어 비평 능력을 기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대신고 SERVICE

대전대신고에서 필요한 서비스
바로가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