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학교생활

생명을 살리고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

독서감상문

10228 이지열 한국사 교과독서(일본의 대한제국 강점-이태진)

  • 조회수 194
  • 작성자 이지열
  • 작성일 2020-02-10
  • 년도 2019년입학
  • 구분 사회교과
이 책을 읽게 된 동기는 한국사를 공부하던 중 일본의 대한제국 국권 침탈 과정을 보고 일본에 대해 악감정이 들어 더 알아보고 싶었기 때문에 읽게 되었다. 일제는 19세기 후반 한국에서의 독점적 지배권을 확대시켜나갔다. 필리핀에서의 미국의 우월성을 승인하는 대가로 ‘가쓰라·태프트 밀약’에서 미국으로부터도 한국에서의 그들의 우월한 지위를 보장받았다. 특히 일제의 한국침략은 1904~1905년의 러일전쟁을 계기로 본격화되어 한국을 자국의 식민지로 만들기 위한 “병합”에 착수하였다. 1904년에는 한국보호권 확립의 구체적 방침을 확정짓고, 우월한 군사력을 배경으로 내정간섭의 구실을 만들기 위해 재정과 외교고문 등의 채용을 강제화하는 내용의 한일의정서를 성립시켰다. 한국은 1905년 11월 일본의 무력적 위협 속에서 “을사5조약”의 체결로 명실상부하게 외교권을 상실함과 동시에 일제의 보호국이 되어 식민지 직전 상태로 전락하고 말았다. 일본은 마침내 “을사보호조약”을 토대로 한국을 강점하여 식민지로 만들었다. 일본은 군사력을 배경으로 하여 목적을 달성하였으나 이에 대한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강력한 반대로 인해 적지 않은 곤혹을 치룬 것 또한 사실이다. 그리하여 일본정부는 1907년 6월에 이른바 “해아밀사사건”을 기회로 삼아 고종황제를 강제 퇴위하기로 결정한다. 위에서 말한 “병합”은 한국 황제가 한국 전부에 관한 일체의 통치권을 완전히 일본국 황제에게 양여하고(제 1조), 일본국 황제는 이를 수락하고 한국을 일본제국에 병합하는 것을 승낙하는 형식(제 2조)을 취하였다. “을사조약”으로 외교권을 “정미조약”으로 내정권을 각각 단계적으로 박탈한 다음 이렇게 병합에 이른 것이다. “일한병합”은 러일전쟁 후 일본이 기도한 한국 강점의 최종적인 도달점으로 한국 현대사에 미친 영향이 이보다 더 큰 것이 있을 수 없다. 이제 국권침탈이 이루어지게 된 배경에 대해서 말하자면 ‘조선’이라는 나라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잇달아 중국과 일본, 그 후에 일본과 러시아의 탐욕의 대상이 되고, 국민을 분열시킨 당파 싸움에 의하여 분열되고, 아시아에 매우 흔한 궁정혁명에 의하여 약화된, 거의 항구적인 무정부 상태에 있는 ‘조선’은 풍부한 미개발의 토지로 인하여 야욕 있는 인접국가에게는 매우 손쉬운 희생양이 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때문에 결국 일본이 러시아를 견제하며 후에는 ‘조선’에 완전 손을 떼게 함으로써 ‘조선’을 강점하고 식민지로 전락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일본의 대한제국 강점에 대해 최근에는 다시 재조명되고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1900년대 대한제국은 일본과 몇 차례에 걸쳐 중요한 협정을 맺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해서 그러한 협정들이 국제법상으로 무효임이 드러나고 있다. 만약 1900년대에 맺어졌던 대한제국과 일본과의 중요한 협정이 무효라면 식민지 시기 전반에 대한 역사적 재규명이 필요한 것이며, 일본의 배상문제 역시 또 다시 재기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함으로 최근에 다시 재조명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일본은 상당히 치밀하게 ‘조선’이라는 나라의 국권침탈을 위해 힘썼음을 알 수 있었고 강대국이 약소국을 지배하게 되는 과정을 보면서 일본에 대한 악감정도 느꼈다. 또한 법적으로 봐도 국제법상 무효인 협정들 때문에 지배를 받았다는 것이 울분하고 화나기까지 했다. 여러 가지 협정들을 알게 되고 그것들이 모두 알게 모르게 국권침탈 과정이었는데 조선 사람들은 불평등 조약에 당해 힘든 날들을 보냈다고 생각하니 가슴이 미어지기도 했다. 위안부 문제에도 관심이 있기 때문에 현 일본 정부를 비판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의 일본 정부라도 자국민들이 저지른 만행에 대해서는 빠르게 인정하고 사과하는 것이 정의로운 것이라고 보아 숙죄 해주었으면 하는 마음이 들었다. 지식적인 면에서는 역사적 사실을 더 알 수 있어서 좋았고 일제강점기의 원인을 알게 되어서 좋았다.

대신고 SERVICE

대전대신고에서 필요한 서비스
바로가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