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학교생활

생명을 살리고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

독서감상문

10608_김재혁_정보교과_코딩교육을 위한 코딩수학지도서 2(김준석, 김상권, 이채영, 김현동)

  • 조회수 197
  • 작성자 김재혁
  • 작성일 2020-02-11
  • 년도 2019년입학
  • 구분 과학기술교과
이 책을 접하게 된 계기는 바로 동아리 시간이었다. 우리 동아리는 수학을 기반으로 공학을 다루는 동아리인데, 수학선생님이신 담당선생님께서 요즘 떠오르는, 초등학교에서도 교육을 하고 있는 코딩에 관심이 많으셔서 책을 추천해주셨다. 또한, 내가 초등학교 고학년동안 로봇에 관심이 많아 로봇을 조립하고 조립한 로봇을 내가 원하는 대로 움직이게 해주는 코딩을 배워서 직접 코딩을 해본 경험도 있어 꽤 관심이 생겨 책을 펼쳐보았다. 책의 특성상 줄거리가 없이 설명만 적혀있는 책이다 보니 주어진 동아리시간 2시간동안 다행히도 다 읽게 되었다. <br> 책이 주로 다루는 내용은 C언어의 일종인 ‘옥타브’라는 언어로 코딩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동시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과 수학을 코딩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들이 나와있다. 예를 들어, 회전행렬을 이용하여 ‘스트링아트’를 직접 컴퓨터에서 그려보고, 처음 접해본 라이프 게임이란 것도 설명이 되어있다. 라이프 게임이라는 것을 처음 접해 조금 관심있게 찾아보았는데, 이는 세포 자동자의 일종이다. 라이프 게임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우리가 흔히 아는 게임과 조금 다르게 수많은 격자에 한 칸을 정해 세포로 설정하고 여러 조건들을 설정하여 격자에서 내가 원하는 모양들을 만들어내는 게임이다. 이 게임에서 쓰인 것은 수학에서의 ‘확률’이라는 개념이다. 사실 생각해보면 우리 주변의 거의 모든 것을 수학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br> 이 책에 소개되는 라이프 게임은 이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어려운 개념이라고 생각했고, 라이프 게임의 기초가 되는 학문을 만약 내가 추후에 배우게 된다면 코딩을 통해 직접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신고 SERVICE

대전대신고에서 필요한 서비스
바로가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