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학교생활

생명을 살리고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

독서감상문

(통합사회) 10625 윤동원 '덤벼라 빈곤(유아사 마코토)'

  • 조회수 191
  • 작성자 윤동원
  • 작성일 2020-02-11
  • 년도 2019년입학
  • 구분 공통교과
이 책은 일본작가가 쓴 책이다. 일본의 사회와 경제가 우리나라와 비슷한 점이 많다보니 앞으로 일어날 일이 예측이 가능해진다. 일본은 고령화, 저출산 사회를 여러 일자리 창출, 복지 정책 등을 통해 끝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한국은 지금 고령화, 저출산 사회가 한창인 곳으로 덤벼라 빈곤은 지금으로서 최선의 해결책을 제시해주고 있다. <br> 우리나라의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다. 젊은이들은 결혼을 하지 않고, 하더라도 아이를 낳지 않는 경우가 매우 많다. 게다가 어르신들은 점점 의료기술이 발달해 오래 살다보니 일을 할 수 있는 능력들은 점점 줄어들어 사회에도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br> 이러한 원인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우선 돈에 관한 문제이다. 일 할 능력이 줄어들어 근로자의 몸값이 비싸져 회사에서는 많이 고용하려고 하지 않는다. 게다가 작은 회사들은 파업위기에 처하게 된다면 정리해고를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실업률이 높아져 청년들이 결혼을 쉽게 하지 못하고 아이를 낳더라도 키우는데 비용이 많이 들어 돈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사회적 문제에는 노후 보장이 잘 되어 있지 않아서 노인들의 자살률도 높아지고 일자리를 얻지 못한 청년들은 노후를 걱정하며 힘들게 살아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교육비가 큰 원인이 되고 있다. OECD 조사결과에 따르면 핀란드 같은 경우는 민간 부담이 0.1이라면 정부에서 5.5를 부담한다고 한다. 반면에 한국은 정부가 4.2를 부담해준다면 민간에서는 무려 2.8을 부담해야 한다고 한다. 이렇게 사회의 문제로 인해 청년들은 자녀를 낳으려고 하지 않는다. <br> 정부에서는 위의 3가지 문제점과 더 많은 원인을 해결하려 노력하지만 아직은 제대로 된 해결책을 못내고 있다. 그래도 대책을 찾고자 한다면 청년의 실업률을 줄이는 것이 가장 큰 해결책이다. 청년들이 취업을 하면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겨 자연스레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을 것이다. 그리고 청년들은 월급을 통해 일부를 저축함으로서 안정된 노후를 살아가게 되어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경제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대책은 구체적인 내용이 좀 더 필요해 아직 실현시키기 힘들다. 그래서 개개인의 마음가짐의 변화가 제일 실현시키기도 쉽고 좋다. 요즘 사회인들은 사교육을 통해 많은 돈을 쓰고 있다. 혼자서도 공부를 할 수 있는데 이는 자신의 나태함, 게으름 등으로 인해 선생님에게 의존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조금만 개개인의 마음가짐을 바꾸고 사교육비를 줄여 공교육이 활성화된다면 사회는 보다 행복해질 것이다.

대신고 SERVICE

대전대신고에서 필요한 서비스
바로가기 입니다.